BOOK81 살인자o난감 – 한국 사회의 불편한 진실 (2013.10.7) 칠리리딩 토론도서 사상 처음으로 웹툰이 선정됐다. 웹툰은 잘 안보는데, 그림컷이 상당히 독특하다. 지면이 작아서 그런건지, 인물 묘사가 극단적으로 단순하다. 어떤 컷에는 인물의 머리만 나와있어서 이게 뭐지 하는 생각도 들었다. 2006년에 일본에서 데스노트라는 만화가 있었다. 사람을 죽이는 방식은 다르지만, 죽어 마땅한 범죄자를 처단한다는 점은 닮아있다. 주인공 이탕은 어린시절 부터 단 한벋도 누구에게도 주목받은 적은 없는 그야말로 평범한 사람인데, 갑자기 얻게 된 능력(웹툰에는 어떻게 얻게 된건지 언급이 안됨) 으로 죄를 짓고도 아무런 단죄를 받지 않은 인간 쓰레기들을 죽인다. 편의점에서 우연히 만난 아저씨는 알고보니 불륜을 저지른 여자의 가족들을 살해했고, 그것을 목격한 눈이 보이지 않는 소녀(사실은.. 2013. 10. 7. 신의궤도 - 김은경에 대한 배명훈의 무한한 애정 (2013.08.19) 소설 속 주인공 김은경은 배명훈 작가에게 굉장히 큰 의미가 있는 여성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끝까지 김은경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보여준다. 지구에서는 “인공위성 재벌의 딸”, 휴양행성 나니예 에서는 “신의궤도 매뉴얼”, “창조주의 딸” “신을 깨울 수 있는 자” 지구에서도 비행기 조정에서 타고난 재능을 보인다. 그에 반해 은경이를 죽이려고 하는 배다른 언니인 김경라는 전체 소설에서 2장 정도 밖에 등장하지 않아 미워하게 된 동기 (단지 아버지의 배다른 동생이라서?)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은경이의 애인인 바클라바를 죽이고 누명 씌우고, 냉동인간으로 만들어서 15만년 후에 깨워나게 만들고, 신의퀘도 매뉴얼이라는 프로그램으로 50년간 10번이나 우주왕복선에서 끔찍한 고통으로 죽게만들게 하는 것들. 소설 후.. 2013. 8. 19. 7년의 밤 (2012.3.13) 정유정 작가의 소설은 이전에 읽어본적이 없지만, "7년의 밤" 을 다 읽은 지금 전작들도 많이 궁금해졌다. 책을 펼치면 작가가 창조한 "세령마을"의 지도가 나온다. 우리나라에 실제 이런 마을이 있나 싶을 정도로 아주 디테일하다. 책을 읽으면서 지명이나올때마다 앞에 지도를 참고하면서 읽었는데 그 당시의 분위기를 상상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이 책은 추리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주인공인 최서원의 시점이 아니라 아버지 최현수의 보안팀 부하직원인 안승환이 쓴 소설의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야기는 강지영이 새로 살 집을 보고 오라고 최현수에게 부탁하고, 길을 잘 몰라 헤매다 호수가 있는 댐 에 오면서 갑자기 튀어 나온 어린 소녀를 차로 치면서 시작된다. 너무 당황한 현수는 소녀를 댐에 올라가 (보안팀장.. 2012. 3. 13. 과학자처럼 사고하기 (2012.3.12) 에두아드로 푼셋, 린 마굴리스의 공저로 이루어진 이 책은 네트워크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전세계 과학자들과의 대담 중 36명의 과학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옮겨놓았다. 푼셋은 인터뷰 도입에 그 과학자가 다루는 주제분야에 대한 논평을 쓰고, 이어지는 인터뷰에서 논쟁의 될 만한 내용에 대해 묻고 답하는 형식이다. 2008년에 나온 책으로 최신의 과학지식을 담고 있다고 손색이 없다. 동물, 인간, 우주로 크게 3부분을 나누고 각 분야를 대표하는 과학자들을 선정하였는데, 자신들의 분야인 만큼 자신있게 이론을 설명해 나간다. 매킨토시는 진화는 진보가 아니라 복잡성의 증대라고 설명한다. 인간 이전에 존재했던 수많은 종들 대략 350만 종에서 1억종 사이라고 하는데 인간은 아직 많은 부분을 모르고 있다고 한다. 에드워드.. 2012. 3. 12. 사이코패스테스트 (2012.2.29) "광기의 심연을 가로지르는 기상천외한 모험" 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은 정신의학회가 출간한 "DSM-4" 교재에 대해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80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책에 사이코패스에 대한 항목은 없다고 한다. 정신병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의가 아직 끝나지 않은 듯 하다. 정신병원에 수감된 토니 라는 환자는 범죄를 저지르고 감옥에 수감되지 않기 위해 일부러 미친 척 하고 있다고 한다. 그의 사례를 통해 현대 정신의학의 모순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토니는 자신이 미쳤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영화속 대사를 인용한다고 한다. 그런데, 자신이 정상이라는 걸 입증하는게 더 어렵다고 한다. 멀쩡하게 양복을 입고 점잖게 이야기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한다. 저자는.. 2012. 2. 29.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